- 영문명
-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te-Talkers through Phonological Whole-Word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신화정(Hwa Jeong Shin) 이은주(Eun Ju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2, 157~16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말 늦은 아동의 음운 특성을 단어단위 음운분석을 사용하여 음운의 근접성과 변이성의 측면에서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4-35개월 사이의 말 늦은 아동 10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놀이 상황에서 목표 실험 단어를 산출하도록 유도하였다. 아동이 산출한 단어를 전사하여 평균음운길이, 단어단위근접률, 단어단위변이율을 분석하고 말 늦은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 음운의 근접성과 변이성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음운의 근접성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말 늦은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평균음운길이와 단어단위근접률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음운의 변이성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말 늦은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단어단위변이율이 더 낮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말 늦은 아동의 언어 발달 예측 요인으로 음운 능력 평가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중재 시 음운적 중재를 함께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te-talkers by examin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phonological ability between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development and late-talkers in terms of phonological prox-imity and variability based on phonological whole-word analysis. Methods: Ten late-talkers (age, 24-35 months) and ten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arget words were produced as a naming task in a structured play situation. The words produced by the children were transcribed and then analyzed according to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 (PMLU), proportion of whole word proximity (PWP), and proportion of whole word variability (PWV) with phonological whole-word analysi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onological proximity between the two groups. Late-talkers scored lower in PMLU and PWP. Seco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onological vari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Late-talkers showed higher PWV.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ate-talkers experience difficulty producing complex syllable structures with accurate pronunciations and thus produce words with lower intelligibility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y also tend to show more incon-sistent phonological patterns. The findings imply a need to evaluate phonological ability as a predicting factor of language development in late-talkers and to consider phonologi-cal intervention when establishing intervention goals for late-talker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