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ison of the Dynamic Topological Structure between the Housing Market and the Equity Market -Focused on Assets with Large Market Capit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이강용(Lee Kang Yong) 이종아(Lee Jong Ah) 정준호(Jeong Jun Ho)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1輯, 195~20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2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소신장트리(minimal spanning tree)기법을 활용하여 2004년 1월~2014.6월 기간 동안 주택시장과 주식시장의 동학적 위상학적 구조를 비교한다. 분석결과 시간의 흐름과 시장상황의 변화에 따라 상관성 구조도 변화하는데, 무엇보다 '상관성 붕괴' 현상이 대세 하락시에 나타나는 주식시장과는 달리 아파트시장에서는 대세 상승기에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아파트와 주식시장이라는 두 자산시장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데, 특히 주식과 달리 아파트가 하방경직성 내지 중위험-중수익 투자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paper compares the dynamic topological structure between the apartment market and the equity market to understand clearly the characteristics of correlation in apartment market.
(2) RESEARCH METHOD
The method of minimal spanning tree was applied to analyze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the apartment market and the equity market. Statistical programs of "R" and UCINET were used in the analysis.
(3) RESEARCH FINDINGS
The research finds that correlation structure changes along with time flow and market condition. It is during the period of housing boom when the phenomenon of correlation breakdown is observed in case of apartment market.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equity market, it is during the market collapse period that the same phenomenon is observed. This is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apartment market and the equity market.
2. RESULTS
The findings could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apartment market has the investment properties of downward rigidity or middle risk-middle return. The reason can be understood in following aspects. Firstly in terms of exchange value, apartment market lacks liquidity when price collapses. Secondly in terms of utility value, apartments possess real-asset characteristics. Thirdly in psychological aspect, apartments are perceived as a safe asset.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 고찰
Ⅲ. 분석설계
Ⅳ. 분석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시사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