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Guidelines for Agricultural Reservoir with Multilateral Risk Factor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박종석(Jong Seok Park) 이경훈(Kyoung Hoon Rhee) 심춘석(Choon Seok Shim) 오창림(Chang Lim Oh) 윤양실(Yang Shil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4호, 225~241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평가항목을 선정하며, 확률적 범위를 통해 정량화된 각 평가항목별 배점과 계층적의사결정법을 통해 도출 된 각 평가항목별 중요도가 적용되는 계수화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단기적 방안으로 신속한 개선이 가능한 안전점검 상태평가 등급의 개선이 유용하며, 장기적으로 여수로 방류능력과 제체의 여유고를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다양한 간격의 지표 구간 설정과 평가결과의 분석을 통해 계수화 모델의 현장 적용성을 높여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안전점검 상태평가 현장조사에 철저를 기하고 사전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상태평가 등급결정의 객관성을 충분히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n alternative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agricultural reservoirs was proposed by examining diverse factors for the hydrological safety of agricultural reservoirs and selecting the optimal evaluation items, and by developing a digitized model. For each evaluation item, this model had the scores, which were quantified within the probabilistic range, and the separate importance valu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Below conclusion was acquired based on the study done. Firstl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in the short term, improving the safety check condition evaluation grade will be useful to improve the hydrological safety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because it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The improvement effect is limited, however, and the overall remodeling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which secures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spillway and adjusted to the freeboard of the levee body, is the efficient method in the long run. Secondl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purpose and evaluator`s need, the index section could be to allow the subject fall within the highest grade A and lowest grade E.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평가 항목 분석 결과 및 적용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