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etermining Priority of the Important Factors on Functions of River Spatial Restorat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임주환(Ju Hwan Lim) 이희찬(Hee Chan Lee) 김지성(Ji Sung Kim) 김규호(Kyu Ho Kim) 한상필(Sang Feel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4호, 207~224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하천 및 홍수터 등 공간 복원 시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하천의 기능과 각 기능의 하위요인을 도출하고, 해당 기능과 하위요인간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하천 유형별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접근방법으로 Delphi 기법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AHP)을 적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하천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하천 유형별 중요기능과 요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지 및 산지하천의 경우 생태기능이, 도심하천의 경우 수질정화 및 친수기능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하천복원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효율적인 정책대안과 합리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유용한 근거자료가 되고, 하천공간 기능에 대한 후속연구의 참고자료로서 활용 가능하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iority and important factors of river functions expected to generate in terms of spatial, mainly in the river and floodplain, restoration. In order to meet the goal, this study examined factors represented in previous reference literatures. This study used Delphi technique and AHP. The expert survey was conducted twice to collect data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important functions and factors are different with each land-use type around river. The ecological function of river is more important in rural areas. Otherwise, the water purification and waterfront function is more important in river across urban areas. The results could be a useful basis for policy alternative and direction in the river restoration and utilize reference of a follow-up study about the river spatial restoratio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Ⅴ. 고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