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rvoir Failure Monitoring and Identified by the UAV Aerial Imag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박진기(Jin Ki Park) 박종화(Jong Hwa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4호, 155~16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괴연저수지는 경북 영천에 위치한 농업용저수지이다. 괴연저수지는 흙댐으로 만들어졌으며 시군관리저수지로 2014년 8월 21일 제체가 붕괴되었다. 매년 장마철에는 집중호우와 댐의 열화로 인한 소형 흙댐의 붕괴가 발생하여 농촌 지역 주민의 안전과 생활을 위협하고 있다. 집중호우와 제방의 열화는 토양을 약화시키고 파이핑 및 구조물의 파괴를 야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가의 무인 항공기 (UAV)를 사용하여 저수지 제방 파괴 후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탐사 시스템에 대해 검토하였다. 저수지 관리를 위해서 비구조적 대책으로 UAV 기반영상 취득, 후 처리, 영상해석 방법을 개발 하였다. 비행 계획, 데이터 수집, 후 처리 및 정밀 지형 생성에 관한 간단한 흐름과정은 취득 영상 활용과 정사영상지도 제작을 위해 사용하였다. UAV 항공영상 작업의 생성물은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 풍부한 정보 내용 및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Gueyon reservoir, situated at Yeongchon region, Kyongbok, is prime water storage facilities for agricultural purposes. This reservoir, built by earthen dam and managed by state authority, suffered an embankment failure on August 21, 2014. Every year during monsoon, heavy rainfall causes deterioration and collapse of small earthen dams possess a serious threat to the safety and wellbeing of surrounding rural areas. It may also weaken the soil and lead to a piping and structural failure. This paper discuss the use of low cost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ased remote sensing system for post-disaster assessment and monitoring of reservoir embankment failure. For reservoir management, a software was developed for acquisition, post processing and analysis of UAV-based aerial imagery. It used a streamline workflow comprising flight planning, data-acquisition, post processing and finally with precise topographical information an accurate Arial image and ortho-rectified map has been created. Product of UAV aerial imagery work are truly beneficial and content richer information which can be more helpful for decision support system.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