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Effective Factor and Analysing a Casual Relationship for Disaster Management about Anti Terrorism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박주혁(Ju Hyeok Park) 박진희(Jin Hee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4호, 51~67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테러 관련 재난관리단계에 대하여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재난단계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뉴테러리즘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이에 대한 미국의 대응체계의 변화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불어 국내 테러대응체계의 구성과 재난관리가 어떻게 구축되어 있는가에 대하여 미국과 비교한 후 국내 테러관련 재난관리단계별 필요한 요소도출을 위한 접근방식으로서 전문가자문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자문을 통해 구성된 설문을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한 결과 재난관리업무수행, 조직역량, 거버넌스요인, 유관기관과의 협조 등 4가지 주 영향요인으로, 그리고 재난단계는 예방 및 대비, 대응, 복구 등 3가지로 분류하였다. 3가지의 재난단계와 4가지의 영향요인의 인관관계를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방 및 대비에서는 4가지 영향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고 그 중 재난관리업무수행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응, 복구 등에서는 유관기관과의 협조, 조직역량 등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고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재 대테러관련 재난관리단계별 주요한 핵심요인은 유관기관과의 협조, 조직역량 등으로 볼 수 있으며, 재난관리업무수행의 경우 예방 및 대비 차원에서 강화 시킬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a effective factor and to analyze a casual relationship of disaster management about anti terrorism. For this research, it discusses about theory of the new terrorism and changing strategic of U.S. Furthermore, it is how to construct anti terror system and disaster management in South Korea to compare with U.S. So, it conducted that it has professional advice to deduce critical factors about anti terror disaster management in South Korea. Then, First effective factors(independent variables) classifies four factors such as disaster management working process, governance factors, organization of cooperation and organization capacity etc. Second disaster management(dependent variables) classifies three factors such as preparedness, prevention, recovery etc. In conclusion, it conduct multi regression analysis between disaster management and effect factors. So it result that it appears to casual between disaster management and effect factors. Commonly, disaster management is influenced by organization of cooperation and organization capacity. But preparedness is influenced by disaster management working process, governance factors. Among others, preparedness is negative disaster management working process. Except for that, it is positive. so, critical variables of disaster management is organization of cooperation and organization capacity and it is improved disaster management working proces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