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Nitric Oxide on the Permeability of Trabecular Meshwork Cell Monolayer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현연(Hyun Yeon Kim) 김재우(Jae Woo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5, 771~775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15
국문 초록
목적: Carboxyfluorescein을 이용하여 일산화질소가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Transwell의 내측 chamber에 인체의 섬유주세포를 단층으로 충만하게 배양한 후 일산화질소 공여자인 0, 10, 100 μm S-Nitroso-N-acetyl-DL-penicillamine (SNAP)과 일산화질소 합성효소 저해제인 0.5 mm L-NAME에 24시간 노출시킨 다음 내측 chamber에 50 mm carboxyfluorescein을 2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외측 chamber에서 투과된 carboxyfluorescein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세포의 생존은 MTT assay로, 일산화질소의 생성은 Griess assay로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SNAP은 10, 100 μm의 농도에서 세포의 생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SNAP은 대조군에 비해 농도에 비례하여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또한L-NAME는 각 농도의 SNAP에 대해 유의하게 투과도를 감소시켰다(p<0.05).
결론: 일산화질소는 농도에 비례하여 섬유주단층세포층에서 carboxyfluorescein의 투과도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섬유주를 이완시켜 안압을 하강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일산화질소는 섬유주세포층을 통해서도 방수유출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5;56(5):771-775>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tric oxide (NO) on the permeability of cultured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 (HTMC) monolayer.
Methods: HTMCs were cultured until confluency in the Transwell inner chamber and then exposed to 0, 10 or 100 μm S-nitroso-N-acetyl-DL-penicillamine (SNAP) and 0.5 mm L-NG-Nitroarginine methyl ester (L-NAME) for 24 hours. Permeabilities of carboxyfluorescein through the HTMC monolayer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fluorometer after 2 hours in the outer chamber. Cellular viabilities and production of NO were assessed using 3-(4, 5 -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nd Griess assay, respectively.
Results: The cellular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10 or 100 μm SNAP (p > 0.05) but NO production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p < 0.05). SNA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carboxyfluorescein through the HTMC monolayer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non-exposed control (p < 0.05). The endothelial NO synthase inhibitor L-NAME abolished SNAP-induced increase of the carboxyfluorescein permeability (p > 0.05).
Conclusions: NO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carboxyfluorescein through the HTMC monolayer in a dose-dependent manner. Thus, NO could increase trabecular outflow by increasing the permeability of trabecular cell layer in addition to trabeular messwork (TM) relax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5):771-775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