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녹내장에서 3D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와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의 진단력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son of Diagnostic Ability of 3D and Stratus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Early Glaucoma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신중원 이원준 엄기방,Joong Won Shin, MD, Won June Lee, MD, Ki Bang Uhm, MD, PhD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3,number5, 652~661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5.1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ability of three dimensional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3D OCT) and Stratus OCT to detect early glaucoma. Methods: The optic disc topographic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parameters were measured by 3D OCT and Stratus OCT in 69 normal eyes and 48 early glaucoma eyes. The discriminating abilities of the two techniques for detection of glaucoma were compared by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UC). Results: The best Stratus OCT parameters and criterion that differentiated normal from early glaucoma based on AUC were horizontal integrated rim width (0.85) for optic nerve head parameters, inferior quadrant (0.88) for RNFL parameters, and ≥1 clock-hour abnormal at the 5% level (0.81) based on the normative database for criteria. The best 3D OCT parameters and criterion that differentiated normal from early glaucoma were vertical cup-to-disc ratio (0.85), 11 o'clock RNFL thickness (0.86), and ≥1 clock-hour abnormal at the 1% level (0.78), respectively. When all corresponding the best parameters and criterion were compar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UCs for Stratus OCT and 3D OCT (p = 0.95, p = 0.73, p = 0.45, respectively). Conclusions: Stratus OCT and 3D OCT had similar diagnostic ability for detection of early glaucoma.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5):652-661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중원,이원준,엄기방,Joong Won Shin, MD, Won June Lee, MD, Ki Bang Uhm, MD, PhD. (2012).초기 녹내장에서 3D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와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의 진단력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53 (5), 652-661

MLA

신중원,이원준,엄기방,Joong Won Shin, MD, Won June Lee, MD, Ki Bang Uhm, MD, PhD. "초기 녹내장에서 3D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와 시간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의 진단력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53.5(2012): 652-66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