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Study Plan for Training Camp Living and Leisure Utilization of University Athletic Clubs Based on Actual Condition Analysis: With a Special Emphasis on Rowing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성률(Park Sung lyul)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109~1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조정선수들의 합숙생활과 여가활용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종목의 경기력 향상과 더불어 저변 확대를 위한 대학교육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대한조정협회에 등록된 전국 대학 엘리트 조정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 조정선수들은 합숙생활이 운동기능 및 팀워크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개인 공간 등 합숙소 시설 전반에 대해서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시간에는 주로 '휴식 및 수면', '인터넷 및 오락게임'과 같은 정적인 여가활동에 참가하고 있었으며, '휴식 및 스트레스 해소'와 '일상생활의 즐거움'을 위해 여가 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시간적ㆍ경제적인 여가제약과 집중 훈련으로인한 피로 누적으로 인해 '관광ㆍ행락', '관람ㆍ감상' 등 희망하는 여가활동 참여에 한계가 있은 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합숙소 제반 시설의 개선 및 확충, 운동스트레스 감소와 훈련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계획과 방법의 개발 및 제공, 그리고 여가제약 조건을 해결할 수 있는 행정적인 대책 마련과 행동적 여가태도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인식 전환 프로그램 제공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elite rowing athletics of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who are registered in Korean Rowing Association, with the purpose to search for a plan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university education polity in order to expand the base an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game by analyzing the status of camp training and leisure activities of our university rowing athle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camp training was not helpful very much to the exercise function and teamwork improvement of university rowing athletics and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camp facilities such as individual space. In addition, they mainly participated in static leisure activities such as 'Rest and Sleep' and 'Internet and Video Games' during their leisure time, and they recognized that leisure activities are required for 'Rest and Stress Release' and 'Amusement of Daily Life' but due to accumulation of fatigue caused by time and economic leisure restriction and intensive training, there was a limitation to the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hoped by the students such as 'SightseeingㆍAmusement' and 'WatchingㆍApprecia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various facilities of camps,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scientific and systematic training plans and methods to reduce exercise stress and maximize training effects, and administrative measure preparation to solve leisure restriction conditions, and various cognitive change programs to induce behavioral leisure attitud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