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etting of Landslide Management Area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류지협 서상훈 Ryu, Ji-Hyeob Seo, Sang-Ho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1호, 161~16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국문 초록
풍수해의 예방 및 저감을 위해 수립하고 있는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서는 인공급경사지(옹벽 및 축대 포함) 및 자연급경사지 붕괴와 그로 인한 2차 피해를 포함하는 사면재해를 7가지의 풍수해 유형 중 하나로 정의하여 위험지구를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 수립된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내 사면재해위험지구는 위험급경사지의 경계가 불분명한 점단위로 지정하거나 비탈면 자체만을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어, 붕괴로 인한 위험영향 지역 및 관리구역 설정에 관한 기준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수립된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내 사면재해위험지구 지정 실태를 조사하고, 국 내외 사면재해위험관리지구 설정 방안을 조사 분석하여 사면재해위험지구 관리구역 설정방안(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comprehensive disaster management plan, landslide hazard is defined as a natural slope collapse and artificial steep slope collapse. However. Result of analysing the completed Comprehensive Disaster Management Plan(9 cities), landslide hazard areas is almost point unit. Because there is no criteria for setting the management area.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 method of setting the landslide management area throughout the study and then examined the applicability to Gimcheon c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