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for Landslide of Busan-Gyeongnam Area Occurred in 2014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류지협 서상훈 김열 Ryu, Ji-Hyeob Seo, Sang-Hoon Kim, You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1호, 143~15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국문 초록
금년(2014년)에는 장마 전선의 남부지방 정체로 인해 부산 및 경남지역에 침수 및 급경사지 피해가 집중되었다. 특히 2014년 8월 17~18일, 25일에 발생한 호우에 의해 다수의 급경사지 피해가 발생하여 많은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부산 및 경남지역에서 발생한 주요 급경사지 피해사례는 부산 2개소, 경남 고성 1개소, 양산 1개소, 창원 3개소 등 총 7개소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부산 및 경남 일대에서 발생한 주요 급경사지 붕괴 발생 7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붕괴원인을 분석하여, 현행 급경사지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현장조사 결과 확인한 붕괴원인들은 향후 급경사지 재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year(2014), seasonal rain front was stagnated in the southern region. As a result, the many landslides occurred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 In particular, many property damages were occurred owing to the landslides induced by rainfall in 17~18, 25 August 2014. It was confirmed that the major lanaslide damage cases occurred in the Busan and Gyeongnam region were the total of seven cases such as the two areas in Busan, one area in Gyeongnam-Goseong, one area in Gyeongnam-Yangsan, three areas in Gyeongnam-Changwon. In this study, field survey and cause of the landslide of seven areas were performed. As a result, we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roblem of the slope management. And the result will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the steep slope disaster preven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