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Non-Scholastic Achievement Areas of Applicants in Korean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원석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55輯,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0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입학사정관전형의 비학업성적영역의 평가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선도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과 문헌 분석의 질적 연구 방법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로 입학사정관전형의 전형 방법, 평가 요소, 평가 방법을 유형화하였고, 비학업성적영역 평가의 특징으로 종합적 평가, 정성적 평가, 평가요소별 평가자료 목록의 마련, 구체적 평가 방법의 비공개 등 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비학업성적영역 평가와 입학사정관제의 안착을 위해 전형 요소 및 전형 방법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공개, 입학사정관전형의 주요 용어에 대한 통일, 입학사정관의 평가 전문성 제고, 비학업성적영역 평가와 대학의 인재상과의 구체적 연결, 비학업성적영역의 평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valuation of the non-scholastic achievement areas of applicants in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n Korea.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uses qualitative methods, that is, interviews with college admissions officers and document analysis with various admissions docu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the study provides the types of admissions screening, evaluation factors,
and evaluation methods in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n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d that holistic approach, qualitative evaluation, the establishment of data lists for assessing applicants’ abilities and the nondisclosure of screening process are list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of the non-scholastic
achievement areas of applicants. Also, the study suggests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consensus over the non-scholastic achievement areas of applicants arefundamentally important for the settlement of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n Korea.
목차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 방법
Ⅳ.연구 결과
Ⅴ.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