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onance Stability of Temporary Bridge Bearing Method Passing Underneath Existing Subway Structur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진팔(Kim Jin Pal) 박양후(Park Yang Hoo) 김자연(Kim Ja Yeon) 조국환(Cho Kook Hwa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2호, 259~26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서울지하철 9호선 930정거장은 서울시의 유일한 순환노선인 지하철 2호선 하부를 통과하는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교형받침 공법 시공 중 열차하중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2호선 박스구조물의 고유진동에 따른 공진현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현장계측과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제안된 공법의 동적 안정성 검토하였고, 공진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임계속도를 확인 하였다. 고유치해석결과 예상된 지하철의 임계속도는 164.4 km/h, ktx는 222.7 km/h로 나타났으며, 현장계측과 수치해석 결과 약 80%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치해석 결과 지하철의 운행속도 범위에서는 공진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ktx의 경우는 운행속도 범위인 222.7 km/h에서 공진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를 통해 유사한 현장에 적용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subway station of 930 that passes underneath Seoul subway line #2 which is the only circulation line in Seoul Metropolitan is constructed in Seoul subway line #9. In this study, the resonance phenomenon which is caused by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ub-way line #2 structure and vibration from train operation during construction of temporary bridge is investigated. The dynamic st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investigated using numerical analysis and field measurement. The results of the eigenvalue analysis evaluated from train operation speed is 164.4 km/h and ktx is 222.7 km/h. The comparisons between field measurements and numer-ical analysis showed a similar trend which is 80% between two, approximately. The numerical results are that resonance phenomenon of the subway will not happen under the operation speed, and also shows the resonance phenomenon at the same speed of eigenvalue analysis. It should be useful to apply for similar cases.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대상구조물
4. 열차특성에 따른 공진해석
5.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