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Criteria for Zoning of Debris Flow Hazard Area(Ⅱ) -The Comparison Between Estimated and Surveyed Valu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경남(Kim Kyoung Nam) 김석우(Kim Suk Woo) 장수진(Jang Su Jin) 이광연(Lee Kwang Youn) 서기범(Seo Gi Beom) 김범수(Kim Beom So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2호, 197~20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지형 및 입지 특성에 근거한 기준점 설정방법을 이용하여 토석류 위험구역을 구획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2011년 산사태 발생지역인 천전리를 대상으로 토사량과 토석류 도달거리를 추정하였고, 이를 항공사진 및 실측자료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지질별, 계류차수별 원단위 산정법(b), 침식가능토사량을 이용한 경험식에 의한 방법(L2) 및 유역면적과 확산각을 이용한 방법(L3)이 유효하였다. 또한 실제 토석류의 발생형상이 최종 구획된 토석류 위험구역의 범위에 있어, 이 방법의 유효성도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revious study, that was zoning the hazard area of debris flow by using the method of setting the ref-erence point based on topography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e quantity and runout distance of debris flowing were estimated on the subject of Cheonjeon-ri landslided in 2011 and both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data of field surveying and aerial photo inter-pretation. As a results, the effectiveness are on the method of the basic units in each of geology and stream order(b), the empirical method using the Erodible sediment discharge (L2) and the method using the basin area and the spreading angle of debris (L3). In con-clusion, these methods were proved in effective because the real debris scale was in the range of the hazard area zoned previously.
목차
Abstract
요지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