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Level of Female Emotional Labor Workers based on Occupational Categori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u Ji Kim Young A Oh Myung S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3호, 231~24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텔레마케터, 백화점 판매서비스직, 호텔서비스직, 의료서비스직의 감정노동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각 직종별 감정노동, 직무특성, 그리고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에 있는 콜센터, 백화점, 호텔, 병원에서 일하는 감정노동 여성근로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감정노동 여성근로자의 직종별 감정노동, 직무특성,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였고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직종 간 주요변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고, 직무특성의 업무량, 직무재량권, 직무책임감과 감정노동의 표면행위, 내면화 행위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감정노동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연구가 요구되며, 감정노동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직수준의 개선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of job stress, emotional labor, and job characteristics in female emotional labor workers. For this research, surveys were carried out from call-center workers, sales service workers of department stores, hotel workers, and clinical nurse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0.0 version. The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variables. In conclusion,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the emotional labor workers shown as follows: job demand, job authority, job responsibility,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desirable for future study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measures to analyze emotional labor and job characteristic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