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plan for Improvements in Textbooks through analysis of Art Section of 2nd Grade Happy Life from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계숙 오창우
- 간행물 정보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2011 추계학술대회,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 즐거운 생활 교과서의 미술교과 영역에서 일반교과서와 점
자교과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미술교과 지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
하기위해 시각장애 특수학교 교육 경력이 10년 이상의 교사로 초등학교 저학년(1,2)과정
의 담임을 최근 5년 안에 맡아본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즐거운 생활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이나 사진 등의 예시자료가 점자교
과서에는 생략되어 있어 학생들이 학습내용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교사들 또한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점자교과서의 개선방안으로
그림 및 사진의 예시자료와 설명을 적절하게 제시해주는 교과서 이외의 부록이 필요하다
는 의견이 많았으며 앞으로 시각장애학생들에게 적합한 미술부분의 별도의 제시자료가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on improvement plans and current situations of art sections taught
in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analyzing how images or pictures are displayed compared
to the braille textbooks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ith experiences with visually
impaired students, by extracting the art section of the Happy Life used in 2nd grade.
Through this research, I realized that the students had difficult time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educating the students since the pictures in the braille
textbooks were omitted. There were varieties of opinions suggesting an appendix apart from the
textbook to guide explain the pictures or images in the “Happy life” textbook. It also suggested the
need for a separate guidance material concerning the art section that is suitable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의 결과
Ⅶ.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