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diction of Service Life for Marine Concrete Structures by Exposure Experiment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창수 김명원 Lee, Chang Soo Kim, Meyong W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4권3호, 341~35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국문 초록
연구는 실내실험에서 이와 같은 이론을 토대로 염해예측 기본모델을 만들고 해양환경에 장기간 폭로된 실험체를 실험계획에 따라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데이터 추이를 통해 기본모델을 수정하였다. 모델 검증을 위해 준공 후 약 30년 경과된 6개의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화물함량 분포를 분석하였다. 염화물 예측 기본 모델식에서 표면염화물함량은 콘크리트 내의 염화물 농도가 건습이 반복 될수록 공극내 증발산의 영향으로 점차 높아 질수 있음을 제시한 연구사례를 반영하여 표면염화물 농도의 ${\alpha}$ 배로 수정하였다. 수정된 모델을 통하여 예측한 데이터와 현장데이터를 비교하였으며, 임계염화물함량 도출시점, 즉 보수시점을 추정함으로써 내구수명 예측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a basic model for predicting salt damage was made in the laboratory experiment, and a maintenance simulation system was developed by constructing a numerical model using the basic model. The basic model was modified through data trends by periodically analyzing the specimens, which were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following the experimental plan. The chloride content distribution of 6 marine concrete structures, which were completed about 30 years ago, was analyzed to test the model. In the basic model equation for predicting chloride, the surface chloride content was modified to be ${\alpha}$ times the surface chloride concentration, reflecting the research which suggested that the chloride concentration in concrete could gradually increase under dry-wet cycling due to the effect of evapotranspiration within the pores. The data predicted from the modified model was compared with the field data, and by estimating the timing of threshold chloride content (i.e., repair time), it was suggested that the model and maintenanc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used to predict the service lif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