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am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경훈 정강영 윤종수 천세억 Kim, Gyeong-Hoon Jung, Kang-Young Yoon, Jong-Su Cheon, Se-U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6호, 429~43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국문 초록
낙동강 주요유입 지천 중 남강 말단부의 수질이 TMDL 수립 이후(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남강댐 하류유역은 주변의 중 소도시와 공업지역의 비점오염원이 산재하고, 말단부로 갈수록 하상경사가 매우 완만하여 하류구간의 유속이 더욱 느려짐에 따라 수질 악화가 가속화되고 부영양화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남강댐 하류유역의 본류구간을 대상으로 관측 지점별 수질현황을 살펴보고, 각 지점별로 시 공간적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수역에서의 이화학적 및 물리학적 수질이 식물플랑크톤(Chl-a)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남강본류구간을 중심으로 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수질 주요인을 분석하여 목표수질 달성을 위한 수질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TMDL, the water quality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am has worsened continuously since 2005. Multifarious pollution sources such as cities and industrial districts are scattered around it. Nam river downstream bed slope is very gentle towards the downstream water flow of slows it down even more, depending on the water quality deterioration is accelerated eutrophication occurs. In this study, Nam River targets the mainstream by observation station looking at the status of water quality, water quality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analyzed station by station. The chemical and physical water quality in phytoplankton(Chl-a) to assess the impact on growt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was performed. This section focused on the Nam River mainstream considering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ttributable to analyze water quality target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to help achieve the aim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