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Improving Way about the Elevator Door and the Fire-protection-rated Glazing Performance Criteria in Building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최동호 김대회 서희원 박수영 Choi, Dong Ho Kim, Dae Hoi Seo, Hee Won Park, Soo Yo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1호, 289~29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국문 초록
화재시 건물내의 연소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방화구획 선상, 피난통로, 승강기 탑승 로비 등에는 방화문, 승강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개구부가 위치하게 된다. 건축물에서의 연소확대는 이와 같은 개구부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쉬우므로 설치되는 개구부 방호 설비에 대한 관련 기준의 정비 및 보완이 중요하다. 특히 과거와는 달리 건물의 고층화, 대형화에 따라 피난용도로 사용되는 승강기의 용도가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승강기문에 대한 화재안전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방화문 등에 설치되는 방화유리창도 화재시 연소확대방지를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방화용 승강기문과 방화유리창에 대한 성능기준을 검토하여 국내 관련 성능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openings for fire doors and elevator doors are installed on fire compartment to stem fire spreading, evacuation passage and elevator hoistway in building. Fire spreading tend to grow through these openings, so it is important to organize the standard related to opening protectives. Unlike in the past, due to being tall and large, the elevator for evacuation is being more important.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for elevator door to be safe in fire and it is necessary for the glazing installed on fire doors to be reviewed with respect to fire spreading. In this study, foreign performance criterion of the fire elevator door and the fire-protection-rated glazing were reviewed and the base data for improving way about the fire performance criteria were suggest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