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easibility Study on the Designation of a Special Disaster Area by Considering the Climate Extreme Valu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정우영 황동환 Jung, Wooyoung Hwang, Donghwa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5호, 135~14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국문 초록
자연재해로 인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야기하는 재난이 발생하면 국내 지자체별로 재난 수습에 있어 능력한계가 발생할 경우 정부에서는 재난의 선포 및 특별재난지역의 선포를 통하여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특별재난선포기준에 따른 선포방법은 특별재난지역의 재난강도, 사회적 물리적 체감피해는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선포에서 제외됨에 따라 심리적 소외감이 팽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특별재난선포기준에 따른 특별재난선포 방법 외에 실제 피해지역의 기후극값 분석을 통하여 지역별로 재난강도를 고려한 정량적인 산정기준 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기후극값 적용결과 1시간 강우량이 기후극 값보다 크지만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지 않은 지역이 27%, 1시간 강우량이 기후극값보다 작지만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도 27%로 나타냈다. 이는 전체의 50%이상의 지역에서 기후극값 적용 시 오류가 발생함을 반증한다.
영문 초록
Due to natural disasters, the central government generally extends support for the local authorities faced with disaster recovery and the loss of public and private damages. Also, the current methodology for designation of an area as a special disaster zone has limitations in the distinguishing a regions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disaster intensity factors and physical damages in the zones. This study addresses the damage estimation in a region by using the annual extreme values of daily precipitation while incorporating current techniques for the damage estimation. Consequently,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regardless of the extreme value for the precipitation record per hour, some regions were declared as the national disaster zone, but the other areas were not designated. Additionally, it showed that the over 50% of the total zones had significant damage estimation errors when the extreme value analysis methodology is applied. Further study for the reliable damage estimation is also necessar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