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Long Period Sea Level Variation on Tidal Station around the Korea Peninsula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윤종주 김상익 Yoon, Jong Joo Kim, Sang I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3호, 299~30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국문 초록
한반도 주변의 평균해수면의 장기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검조기록이 25년 이상 확보된 17개의 조위관측소에서의 1960~2010년까지 평균해수면 자료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각 해역별로 동해가 평균 2.0 mm/year, 남해는 평균 3.2 mm/year, 서해는 평균 1.3 mm/year로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제주해역의 평균은 5.6 mm/year으로 전세계 평균치보다 약 3배가량 높은 해수면 상승률이 나타났다. 이는 전 지구적 평균치를 상회하는 추세로서, IPCC의 최근 보고에 따르면 이러한 상승률은 과거에 비해 미래에 더 가속화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주변의 해수면 상승률은 지역적인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연안 방재 차원에서 이러한 장기 해수면변화가 반드시 연안구조물의 설계에 정량적으로 반영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Long period sea level changes were investigated at 17 tidal stations which are located around Korea peninsula with more than 25 years tide-gauge data.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get general rising trend for long-term change(1960~2010) in mean sea level(MSL) at each s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rising trends of MSL around Korea is higher than that of global MSL. The linear rising trend of MSL was relatively small along the western coast(on average 1.3mm/year), large along the southern and eastern coasts(on average 3.2 and 2.0 mm/year), and very large at around Jeju Island(on average 5.6 mm/year). The rising rate of around Jeju Island is about 3 times higher compared to the world ocean. According to recently IPCC report, the rate of sea level rising can be accelerating after 21st century. The interannual variation of sea level rising around Korea showed regional difference. This property of sea level rising should be considered to design the coastal structure in terms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