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sign of Evacuation Route at Subway Station Using Simulat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함은구 노삼규 Ham, Eun-Gu Roh, Sam-Kew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0권5호, 1~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0.31

국문 초록
지하철 역사 화재는 다수의 인명피해를 동반한 대구 지하철사고 이후 지하철 차량 내장재, 지하역사의 제연 시스템과 승객이 지상으로 탈출하기 위해 필요한 피난시간 등과 같은 기존 시스템에 대한 적정성 논란을 가져왔다. 기존의 제연설비는 화재 시배기 용량과 역사 시설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한 제어방법의 한계가 따른다. 특히 지하철 역사 화재는 지중에서 지상으로 대피하는 형태로서 이는 부력으로 인한 연기의 이동방향과 피난방향이 같아지게 되므로 피난자들이 일반화재보다도 더욱 많은 연기의 영향에 노출되어져 버리는 결과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향식 피난 동선을 설계하여 피난완료시간의 단축 및 연기 층으로부터 피난자들을 격리시켜 희생자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subway fire disaster at Daegu, Korea smoke control system and passengers evacuation distance has been focused to reform. Existing smoke control facilities need to expand volume of ventilation capacity however, the complicate subway station structure can hardly react dispersion of smokes from massive subway cabin fire. Smoke flow at platform level move upward thought vertical stairway and passengers evacuation goes with same direction. The victims of evacuees from subway station fire mainly due to exposure of heat radiation and smoke. The study demonstration the effect of downward evacuates stairway system by separating evacuation route to smoke movement pass way including saving times of evacu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