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최순영 조임곤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3권 제1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국문 초록
공직 개방성을 확대하기 위한 개방형 직위, 계약직채용 등의 개방형 임용제도가 전문성 향상, 효율적 정책수립, 변화와 혁신, 성과주의, 폐쇄성 극복 등 원래 의도한 효과를 달성하고 있는지에 관한 효과성 영역, 개방형 임용제도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정책영역과 개인영역에 관하여 개방형 공무원과 공채출신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평가를 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에 의하면, 개방형 임용제도의 효과성에 관하여 채용경로별로 평가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공직 외부에서 채용된 민간인 출신 공무원은 개방형 임용제도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반면, 공직 내부에서 임용된 공채출신 공무원은 개방형 임용제도의 효과성에 대하여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개방형 임용제도가 의도한 효과를 달성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영역과 개인영역에 대한 공무원의 평가도 개방형 공무원과 공채 출신 공무원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개방형 임용제도가 왜 필요한가, 왜 확대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우리나라 계급제의 한계에 대한 현실적인 성찰이 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직의 전문성과 고객지향성을 제고하고, 공무원들이 보다 다각적인 시각으로 정책수요에 접근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직무수행요건을 갖춘 후보자들 중에서 공직 내외의 경쟁을 거쳐 임용하는 직위분류제의 대폭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평가모형
Ⅲ. 개방형 임용제도에 대한 공무원의 평가
Ⅳ.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