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cial Capital and Crisis Management of Public Health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ang We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12호, 109~1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국문 초록
시민의 건강문제를 개인의 문제로만 인식하는 사회는 복지적 측면에서 후진적 사회로 간주된다. 지역주민의
공중보건을 공동체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시민사회나 그에 속한 결사체 혹은 지방
정부, 나아가 국가와 같은 다양한 조직체의 공동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보다
구조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부가시키기 위해 최근의 거시적 연구 주제들 가운데서 상대적으로 많은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는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 혹은 ‘사회자본(social capital)’과 공중보건의 관계에 대해 지역을 분석
단위로 사용하여 경험적 연구를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의 지역(기초자치단쳬, n=229)을
분석단위로 사용하여 사회적 지원이나 사회자본이 지역의 사망률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우선 첫 번째 연구가설은 사회적 지원이나 사회자본이
많은 지역일수록 그 지역의 사망률은 낮을 것이라는 가설이었다. 분석결과에서 일부 사회적 지원변수와 사회자본
변수가 사망률과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나타냈기 때문에 이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연구가설은 사회적 지원은 사회자본과 독립적으로 그 지역의 사망률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이었다.
모델측정 결과, 애초에 사망률에 영향을 주었던 사회적 지원변수들은 사회자본과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사망률
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두 번째 가설은 지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을 종합해볼 때, 사
회적 지원과 사회자본이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이 연구의 결과에 기초해보면, 지역공동체나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한 구체적인 물리적 형태의 사회적 지원의 정도와 지역공동체의 가족 내 사회자본이 지역주
민의 공중보건 관리에 효과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영문 초록
Relying upon recent social science and public health science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theory,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es that areas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will have lower mortality rates. Korea is a member of OECD with moderate mortality
rates. Although its overall mortality is the lower rank among the OECD members, local rates of
mortality vary widely. Similarly, the level of social capital provided by local government varies
throughout Korea due to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financial condition. Utilizing data from
Korean regions(n=229) and controlling for other structural covariates, Ordinary Least
Squares(OLS) regression was employed to estimates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regional
mortality rates. As expected, the results provided some partial support for direct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mortality. The findings showed that regions exhibiting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were regions with lower level of mortality rates.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social context of Korean regional specific conditions and of the meaning of
recent research of social capital and mortality.
목차
I.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자료와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토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