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regular Worker’s Job stress, Problem Drinking, and Mental Health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oo Kyung Park Chung K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12호, 57~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2년 5월 서울과 경기지역의 직장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근로자 333명을 대상으로 한 자기기
입식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문제음주, 정신건강에 대한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 있어 문제음주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독성가설모형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둔 긴장감소가설모형을 검정하였다. 매개효과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문제음주는 매개효과를 보였지만 부
분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직무스트레스와 문제음주와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은 완전매개효과를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나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직무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음주를 하고 이로 인해 우울이나 불안감을
느끼기보다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우울이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음주를 하는 경향이
더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산업복지 정책 및 실천현장에 주는 함의로서 정
규직 근로자들의 정신건강이나 건강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전문적인 지원책 마련, 비정규직 근로자의 다양한 직
무스트레스의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프로그램 도입,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운동ㆍ레크레이션 활동
기회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non-regular worker’s problem drinking,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focusing on the tension reduction hypothesis and intoxication
hypothesis with self-report survey data based on 333 non-regular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do in May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mental health appeare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roblem drinking, while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 dr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seems partial. That is, a high job stress resulted in mental health problem such as depression
and/or anxiety, and mental health also affect problem drinking.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s for non-regular workers to relieve job stress and problem
drinking.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분석
V.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