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mpirical Study on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System’s Demanded Competency and Resilienc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ungmin Roh Eunkyung Chai Chang Kil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12호, 2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앙정부의 제도와 지침, 재정에 의존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
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의 역량과 복원력에 관심을 두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의 목적은 위험으로부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기능을 조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에게 요구되는 재난관리시스템의 역량을 내부역량과 외부역량으로 구성하여 지속가능성과 지역공동
체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활동의 지속가능성과 복원력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
체들이 그들의 역량을 제고하여야 함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설문분석은 실무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역량 요인으로 인한 지속가능성과 공동체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무경
험 집단과 실무무경험 집단이 서로 다른 시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경험 집단의 경우 책임성, 연
계성 요인이, 실무무경험 집단의 경우 전문성이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Disaster scholars have investigated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resilience, but extant research
has not examined various strategies within provincial government system. The questions of how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system’s demanded competency influence disaster
resilience and sustainability remains unanswer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urrent problem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demanders’point of view through survey and then address
suggestions based on each entity's recognitions and understandings related. Results based on
the data analysis demonstrated that 4 core competencies (responsibility, expertise, connectivity,
responsiveness) are the most attributed (regardless of class) in the order based on competency
demands. In addition, a great discrepancy between practical experience group and working
inexperience group is also identified in the recognition of competency demands. The findings
confirm that the coordinating role of the provincial governments is critical to the building of a
resilient community in terms of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demonstrate the steering
role of the provincial governments with regard to resili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분석모형과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