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ison Analysis on Patient Assessment Stages of Paramedics and Laypersons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Eun Kyung Jung Hyo Ju Lee Hye Sun Kim Ho 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11호, 369~38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급대원과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환자평가단계를 분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설계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4월 22일부터 2013년 4월 28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은 실험군으
로 구급대원 35명, 대조군으로 일반인 28명이다. 연구도구는 스탑워치를 사용하여 의식평가시간과 호흡평가시간
을 초단위로 측정하여 기록하였으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환자평가를 위해 소리치는 음성과 어깨를
두드리는 진동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Mann-whitney U 검증,
ANOVA, KRUSKAL Wallis 분석을 시행하였다. 심폐소생술 환자평가시간은 실험군에서 4.09초, 대조군에서 5.63
초 동안 환자평가를 실시해 현장에서 근무하는 실험군의 환자평가 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더 짧았다. 또한 과거
교육받은 기간이 길수록 총 환자평가시간, 호흡평가시간이 짧았으며 진동자극에도 약하게 나타났다. 심폐소생술
환자평가의 단계가 단순해지는 것은 심정지가 아닌 환자에서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다
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심정지가 의심되는 환자에게 빠른 심폐소생술이 적용되기 이전에
정확한 환자평가를 위한 시간, 음성, 진동자극이 구급대원과 일반인에게 제시되어야 하며 심정지 환자평가 방법
도 지속적인 재교육과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o analyze CPR patient evaluation level of
rescue workers and ordinary people by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The study took place from
22nd of April, 2013 to 28th of April, 2013. Research objects were 35 rescue workers as
experimental group, and 28 ordinary people as control group. Stop watch was used as research
tool to record conscious assessment time and breathing assessment time in seconds.
Smartphone application was also used to record vibration coming from tapping the patient’s
shoulder and voice shouting in order to evaluate the patient. SPSS 18.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 t-test, Mann-whitney U test, ANOVA, KRUSKAL Wallis.
CPR patient evaluation took 4.09 seconds in experimental group, and 5.63 seconds in control group, showing experimental group who work in the field take shorter patient evaluating time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longer the duration of CPR education in the past, total patient
evaluating time and breathing evaluation time were shorter. The vibration stimulation also was
weaker. Simplification of CPR patient evaluation steps mean higher probability of conducting
CPR to a patient who’s not in cardiac arrest. Through this study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ime, voice, and vibrating stimulation for exact patient evaluation should be presented to rescue
workers and general public before swift CPR is conducted on patients with suspected cardiac
arrest. Furthermore, the study result suggests need for continuous reeducation and retrai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설계와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