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dolescent Consumers‘ Label Checking Behavior and Repurchase Intention of Processed Food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Mi Hyun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11호, 345~3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국문 초록
최근 소비자들의 식품 소비 비용 중 가공식품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식품구입에서 가공식품이 차지
하는 비중도 증가되었지만 이에 대한 소비 문제 및 우려도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식품을 간식에 주
로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가공식품관련 특성, 가공식품 표시확인행동을 파악하고 또한 이 변
수와 재구매의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일자 및 유통기한 표시에 대
한 확인행동은 높게 나타났지만 반면 원재료표시, 영양성분표시, 식품첨가물표시 확인행동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소비자들의 가공식품 재구매의도 수준은 보통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앞으로 가공식품을 구
매할 가능성은 비교적 높지만 가능하면 가공식품을 구매하겠다는 의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가공식품 재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총인과적 효과를 보면 가공식품 섭취정도가 가장 크고 그 다음은 가공식품
표시확인행동, 주관적지식, 객관적지식, 안전관련 구매태도, 기업신뢰도 순이었다. 특히 가공식품 섭취정도가 많
은 경우에는 오히려 표시확인행동을 하지 않으며 또한 재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청소년소비자들의 가공식
품에 대한 습관적인 반복구매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가공식품에 대해 친숙하거나 익숙함에 습관적으로
재구매의도가 높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소비자교육을 통해 식품 안전을 고려한 소비생활이 이
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proportion of processed food in consumers’ food expense is significantly
increased as well as in food purchase. Accordingly, relevant consumption issues and concerns
are also rising.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ed food and the behavior of
checking the labels of processed food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repurchase intention, targeting adolescent consumers who mainly consume processed food as
snack. The major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ehavior of checking
the labels of production and expiration dates was shown as high. On the other hand, the
behavior of checking the ingredient label, nutrition label, and food additive label was relatively
shown as low. Second, the level of adolescent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of processed
food slightly exceeded the average. The possibility to repurchase processed food in the future
was relatively high but intention to purchase processed food if possible was relatively low. Third,
the study examined the total causal effects of factors that affected repurchase intention of
processed food, and found that the intake of processed food showed the largest total causal
effect followed by the behavior of checking the labels of processed food, subjective knowledge,
objective knowledge, purchase attitude regarding safety and corporate trust. Especially in the
case of large intake of processed food, adolescent consumers rather did not check the labels
and their repurchase intention was high. This implies that adolescent consumers habitually repeat the purchase of processed food. It is not advisable that repurchase intention is habitually
high because consumers are familiar and comfortable with processed food. Therefore,
consumer education on this matter should be conducted for consumption behavior that
considers food saf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배경
Ⅲ. 연구문제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