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orking Conditions and Industrial Accidents in Accordance with Safety and Health Environment in the Workplac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Wonil Jeong Yongil J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11호, 323~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과 산업재해발생의 연관성이라는 측면에서, 실제 사업장의 산업안전보건법의 준
수여부와 산업재해 발생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재의 예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규칙으로써,
법을 이행하는 것이 산재예방의 기본이 된다는 가정에서부터 시작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법조항을 잘 준수하는
지, 혹은 어떠한 사업장 특성을 가진다면 산업재해가 적게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로써,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선임(제13조)하거나 안전인증(제34조)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는 등의 행동을 하거나 방호조치(제
33조)를 잘 할수록 재해발생확률이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채용시 교육(제31조)이 잘 될수록 재
해발생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남성비율, 외국인비율, 고령자비율이 높을수록 산업재해 발생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찾을 수 있다. 결국 이러한 법조항의 준수는 근로자의 근로조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사업장의 안전보건과 관련된 환경적인 측면에서 근로조건을 고려한 근로자의 생산성을 판단할 수 있다는 측면에
서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of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and Industrial
accidents.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is by the most basic rules for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Therefore, we analyzed that what kind of Act is most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 As the main results, occur industrial accidents will be lower
probability to keep the Act #13 and #33, #31, #34. Furthermore, industrial accidents will be
growing up when the male ratio and foreign ratio is higher than others. It can be seen that the
law-abiding i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workers,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Key words: industrial accident, working conditi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목차
Ⅰ. 서론
Ⅱ. 기존문헌 연구
Ⅲ. 산업안전보건법 준수현황 및 실태
Ⅳ. 법 이행 여부와 산재발생에 대한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