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ences of Overcoming Short Stature among Children Whose Heights Are Short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Min Hya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11호, 289~30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저신장 아동의 저신장극복과 관련된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저신장아동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연구에 동의한 6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4월부터 6월까지 약 3개월
간이었고,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저신장극복체험에 대한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저신장을 극
복하기 위한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체험의 기본구조로서 의미 차원들을 나타내는 데 도움을 주는 네 개의 실존체
즉 신체성, 관계성, 시간성, 공간성에 따라 도출되었으며, 7가지의 주제, 즉 견뎌내야 하는 내 몸, 몸의 변화, 작
은 내 몸, 관계재정립, 동거동락, 마감하는 주사, 벗어나려고 함으로 나타났다. 저신장을 극복하기 위해 주사를
맞아야 하는 불안과 공포를 줄일 수 있는 간호 중재방안 및 키가 큰 친구와의 비교를 통해 낮아진 자신감과 자아
존중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지지와 신체상에 대한 바른 기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저신장아동의 저신장 극복체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밝히고자 처음 시도된 연구이므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don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related with overcoming short
stature among those whose heights are short. The research objects were six short stature
children who were able to communicate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three months from April to June 2013. The research methods this
research used were analytic and phenomenological methods. The essential themes in the
experiences to overcome short stature were extracted from the four existential beings such as
body, relationship, time, and space which help revealing meaning dimensions as the basic
structure of experience, and there were seven themes: my body which should endure, change
of my body, my small body, re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living together and enjoying
together, finishing shot, and trial to escape. Nursing intervention which can reduce anxiety and
fear related with having to he shot to overcome short stature is required. And those children
should be given psychological support to enhance the lowered pride caused by the comparison
of their heights with those of tall friends and improve their self-esteem. They should also be
helped to have just standards on their bodie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to find out essential meaning related with the experiences of overcoming
short stature among school children in lower grad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