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erceived Self-presentation in SNS Conditions on the Information Diffusion and Personal Relation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동태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2권 제6호, 23~3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정보 제공자의 자기표현 성향(공적자기의식, 나르시시즘)과 정보 과장성이 정보 확산의향과 오프라인 대인관계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수용자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보 수용자가 지각하는 정보 제공자의 자기표현 성향은 나르시시즘적 성향이 지각된 정보 과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공적자기의식 수준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정보 수용자가 지각한 정보 과정성 정도가 클수록 해당 정보의 전파 의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제공자와의 오프라인 대인관계 태도에 미치는 영향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의 의의는 온라인 정보 확산의 선행요인을 정보 제공자의 자기표현 성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정보특성 개념으로 정보 과장성의 역할을 규명했다는 점, 나아가 자기표현 성향이 온라인상의 정보 확산뿐 아니라 오프라인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까지 확인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기표현 성향을 보다 확장된 개념에서 연구하여 다양한 하위 구성개념들을 도출해 내고, 나아가 자기표현성향에 있어중요한 영향요인이 될 수 있는 인구통계특성을 고려한 확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effect of self-presentation(public-self, narcissism) and information exaggeration in SNS conditions on the information diffusion and personal relations. The empirical study is based on a field surve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perceived public-self on information exaggeration(Hypothesis 1) is not significant. But perceived narcissism positively affect perceived information exaggeration(Hypothesis 2). It also reveal that perceived information exaggeration negatively affect the intention of information diffusion(Hypothesis 3). Finally perceived information exaggeration is found to negatively affect personalrelations(Hypothesis 4). The significance of present study is to extend scope of research which is related with new media communication. Especially, this study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lf-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xaggeration in SNS conditions. This means corporation can manag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information on SNS by managing the degree of self-presentation of them. And it also means that corporation has to manage perceived information exaggeration on SNS for building robust customer relationship and diffusing their information through all customer.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III. 연구방법
I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