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Construal Level on Cause-related Message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강성호 이한근 한상우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2권 제6호, 13~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익연계 메시지 소구 유형이 공익연계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의 해석수준의 조절적 역할에 대해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2(공익연계 메세지: 감성적소구 vs 이성적소구) x 2(해석수준: 상위해석수준 vs 하위해석수준)집단 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는 탈맥락적이고 목적지향적인 상위 수준으로 해석 할 경우, 메시지 소구형태에 관계없이 긍정적으로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소비자는 맥락적이고 부수적이고 하위 수준으로 해석할 경우에는 메시지 소구형태가 감성적 소구일 때 보다 이 성적 소구일 때 제품 태도에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공익연계 메시시 소구와 소비자의 해석수준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신뢰성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이들 관계 간의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ause-related Message Appeals and Consumers' Construal level influence the product attitude .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s, one hundred and seventy-six undergraduate students from university in South Korea were recruited in exchange for gift certificate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dition of a 2(Cause-related Message Appeals; rational vs emotional) x 2 (consumer'sconstrual level : high vs low). The study found that high construal level consumer's attitude were indifferent between Message appeals, whereas low construal level consumers evaluated that the rational appeals with cause-related messages more favorably than emotional appeals with cause-related messages.
additionally, we fou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he mediating role of credibility between the interaction of Cause-related Message Appeals and Consumers' Construal level and product attitude. This study conclusion offered the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III. 가설설정
IV. 실 험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