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Creating Student-centered Collaborative Digital English Storie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부남(Park Punah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2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용 학습자 기반 디지털 영어 동화 창작 교수 ․ 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5명의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영어 의사소통 능력과 교수법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지털 영어동화 부교재와 영어 활동을 만들어 방과후학교 초등 학생들에게 영어 동화 학습을 실시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영어 교재연구 ‘영어동화 창작과 교수법’ 강좌에서 예비교사들은 초등학생의 인지적수준에 맞는 창작 동화 교재 제작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예비교사들의 협동 기반 디지털 동화 창작에 대한 교수 모형개발을 위해 외국인 교수와 공동 수업 개발을 진행하며 정성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업 참여관찰을 통해 연구자는 예비교사들의 동화 창작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해 예비교사들의 협동적 전문성 향상 과정을 분석하고 디지털 동화 창작 과정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영어
교수법 전문성 신장을 위해 창작한 영어교재를 방과후 학교 초등학생에게 스토리텔링 수업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이 영어동화 창작을 통해 영어 실력이 향상되었고 자기주도적인 교사로 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흥미, 어려움, 영어 사용능력 등을 보면서 초등학생들을 이해하게 되고 미래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신장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협동기반 디지털 영어 동화 창작 수업을 하고자 하는 교사들과 연구자들에게 몇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model of English story-creating and teaching skills through the storytelling method. To enhance teaching skills and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15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created English stories and related activities in a group by using the storytelling and story-creating method. After the story creation, the pre-service teachers tutored elementary students who enrolled in an after-school program using the created stories.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im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tory creating and teaching model. Creating English stories by collaborating in a group reduced the burden for creativity, improved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made them a more creative independent teacher. The model also made positive contributions to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interests, difficulties and level of language competence in learning English. The effects of the model of story creating and teaching were fairly positive in developing teachers’profession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lementing effective story creating and teaching for pre-service primary teacher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디지털 영어동화 창작을 활용한 교수법의 교육적 의의
VI.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