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미(Lee Jumi)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전공 필수과목을 수강하는 144명의 대학생들의 미래목표 차이가 그들의 인지된 내적/외적 도구성, 내재적/외재적 학습동기, 그리고 자기조절력에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대학생들을 그들의 미래목표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 (1) 대학 졸업 후 교사직 목표 그룹, (2) 연구직이나 행정직을 포함한 교육계에 관련된 직업
목표 그룹, 그리고 (3) 교사직을 예비계획으로 생각하는 그룹. 본 연구의 결과에서, 교사직을 목표로 하는 그룹이 교육계 직업을 목표로 하는 그룹이나 교사직 또는 교육계 직업에 관심이 없거나 교사직을 예비계획으로 보는 그룹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교직전공필수과목에 대한 인지된 내적 도구성과 외적 도구성을 가졌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제안하는 것은, 교사직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교사직에 관심이 없는 학생들보다 교직필수과목을 그들의 미래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더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144 college students' different career future goals were related to different levels of their endogenous/exogenous instrumentality,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in teacher-education courses. Regarding the students' future goals,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future goal groups: (1) definitely planning on pursuing a career in teaching; (2) planning on pursuing a career related to education but not actually teaching; and (3) pursuing a teaching credential as a back-up plan.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were committed to becoming a teacher
provided significantly higher ratings concerning their perceived endogenous and exogenous instrumentalities than students who wanted to go into other teaching related fields or who saw teaching as a back-up plan. The different students’ ratings for endogenous and exogenous instrumentalities, depending on their different future goals, suggested that aspiring teachers saw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as a means to achieve their future goals more than students who were not interested in teaching as a future career.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