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cial Exchange and Police Officers' Safety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임운식(Lim Woon Sik)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16권 4호, 255~303쪽, 전체 4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사회적 교환이론에 근거하여 경찰공무원의 안전행동에 대한 가설들을 설정하고, 대구 지역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그 가설들을 검증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사회적 교환이론 변인은 직무만족(업무자체, 업무량, 승진, 급여 및 복리후생), 조직 내 교환관계(지각된 조직지지, 안전관련 지각된 조직지지,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안전관련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동료간 교환관계, 안전관련 동료간 교환관계), 의사소통만족(조직 및 상사와의 의사소통, 동료와의 의사소통, 안전의사소통)이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 요인들 중 업무량과 승진은 경찰공무원의 안전행동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업무자체 변인과 급여 및 복리후생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조직 내 교환관계 요인들 중 안전관련 지각된 조직지지, 안전관련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동료간 교환관계, 안전관련 동료간 교환관계는 안전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안전과 관련되지 않은 일반적인 지각된 조직지지, 상사-부하간 교환관계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의사소통만족 요인들은 모두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 변인들만 다 같이 포함시킨 최종 모형의 분석 결과 급여 및 복리후생, 의사소통 관련 변인들의 효과는 모두 사라졌고 업무자체, 안전관련 지각된 조직지지, 안전관련 상사-부하간 교환관계, 동료간 교환관계, 안전관련 동료간 교환관계는 여전히 안전행동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경찰공무원들의 안전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police officers' safety behaviors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This study conceptualizes three components of social exchange which could be relevant to safety behavior : job satisfaction, exchanges in organization,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Specifically, each component of social exchange includes several factors as follow. First, job satisfaction is composed of "satisfaction in work itself", "workload", "promotion", and "salary and benefits." Second, the component of exchanges in organization consis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general",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safety", "leader-member exchange", "leader-member exchange regarding safety", "co-worker exchange", and "co-worker exchange regarding safety." Finally,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is made up of "communication with organization and supervisor", "co-worker communi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Principal component method is used to see which items cluster together in each factor and to calculate factor scor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s several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behavior. Ke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mong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in work itself" and "salary and benefits" have significant effects.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safety", "leader-member exchange regarding safety", "co-worker exchange", and "co-worker exchange regarding safety" have significant effects. Third, all the factor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afety behavior. Finally, when all the variables with significant effects are included in the final model, the effects of "salary and benefits", "communication with organization and supervisor", "co-worker communi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disappear, whil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in work itsel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safety", "leader-member exchange regarding safety", "co-worker exchange", and "co-worker exchange regarding safety" rem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issues to promote police officers' safety behaviors.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가설과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