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Korean Police Rank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태진(Kim Tae Jin)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18권, 1~3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0.31
국문 초록
경찰계급체계는 직위부여의 기준이면서 계급정년제도의 기초가 된다. 한국경찰의 계급체계는 순경에서 치안총감에 이르기까지 11개의 계급으로 구성되어있다. 한국경찰이 지니고 있는 구조적이고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찰계급의 단계를 7개 정도로 축소함으로써 직급과 계급의 수를 일치시키고 승진경쟁을 완화하며 계급정년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는 관료제적 계층구조의 파괴를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요체로 하는 지식정보사회의 새로운 경향에 발맞추는 미래지향적 조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olice rank system is not only the criteria to assign positions but the standard to set rank retirement age. According to Korean National Police Official Law, Police rank is composed of 11 ranks from Patrolman to Commissioner General. To overcome the structural and chronic problems of Korean Police, it is required to downsize the current rank system to seven ranks, which helps accord the number of ranks with that of positions. This change might relieve the promotion competition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ank retirement age. The reform of police rank system can be the desirable arrangements consistent with the new currents of modern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which requires prompt decision making through destruction of bureaucratic structure.
목차
국문 요약
Ⅰ. 머리말
Ⅱ. 경찰계급체계의 역할과 기능
Ⅱ. 경찰계급체계의 역할과 기능
Ⅳ. 우리나라 경찰계급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