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전소설에 수용된 숙향의 형상과 문학적 의미

이용수 391

영문명
The literary meaning and form of Sukhyang accepted in the classical novel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경일남(Il nam Kyu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2輯, 53~7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고전소설에 수용된 숙향의 형상과 거기에 담긴 문학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조선후기에 <숙향전>이 폭넓게 향유되면서 숙향은 다수의 고전소설 작품에 다양한 형상으로 개입되고 있다. 그 주요한 유형은 선녀ㆍ절색ㆍ비애ㆍ비련의 형상인데, 수용양상이 보여주는 두드러진 특징은 광범위성과 가변성이다. 고전소설에 수용된 숙향은 당대 향유층이 숙향을 초월적 존재와 비극적 존재로 인식하였고, 이러한 이원적 인식을 토대로 숙향 형상을 외적 묘사나 정서표현에 주로 활용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고전소설의 숙향 수용을 통해 숙향의 고난에 대한 향유층의 의식을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향전> 내용이 고사로 정착ㆍ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form and the meaning of Sukhyang accepted in the classical novels. The latter of Choseon, was enjoyed and Sukhyang has intervened as various form in lots of classical novels. The important types are angel, the beauty, sorrow, tragic forms. The aspect of acceptance shows some major features that are a wide scope and variability. We can see that readers understood Sukhyang as a transcendental and tragic existence at that time through classical novels. With these recognitions, form of Sukhyang was used in external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generally. Also through acceptance of Sukhyang in classical novels, we can know the consciousness of readers about the hardship of Sukhyang and can understand that was utilized as a ancient story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고전소설에 수용된 숙향의 형상
3. 숙향 수용에 담긴 문학적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경일남(Il nam Kyung). (2014).고전소설에 수용된 숙향의 형상과 문학적 의미. 어문연구, 82 , 53-74

MLA

경일남(Il nam Kyung). "고전소설에 수용된 숙향의 형상과 문학적 의미." 어문연구, 82.(2014): 53-7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