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趙學俊 尹暢烈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7권 1호, 55~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2.27

국문 초록
영문 초록
通過對『傷寒論』按條文的性質來分證和整理,使能够正確理解傷寒論全貌,并易于臨床應用的尤在涇所著『傷寒貫珠集』的考察,得到了如下結論.尤在涇并沒有受方有執,喻嘉言 等三綱鼎立學說的影響.其理由爲有汗,無汗與表虛,表實都由體質的強弱和衛氣的虛實而定,并非自外而入的邪氣性質所定. 這是將不同的病人可以出現各種不伺症狀的體質因素合理的引到了傳統的『傷寒論』之病因論中, 將三陽病劃爲經腑, 三陰病劃爲經臟來進行區分,其治法爲三陽病以正治,權變,翰旋,救逆,類病,明辨,雜治,鐵刺等入法治療,三陰病以汗法,淸法,溫法,下法治療.由此可以看出尤在溫把六經的實質看作爲經絡和臟腑.三陰病中,木來尤在理只分有淸法,溫法,下法三種,對于汗法沒有具體的論述,但是,從他所分類的條文的內容上來看却包含有汗法,所以,將汗法也要包含在內,方爲妥當.還有,在對于三陰病中下法的解釋上有獨特立處.邪進入三陰,則病已深矣,但僥幸能活者,是因其邪氣尚能隨陽而排出體外,所以可以施行下法.
목차
中文抄錄
Ⅰ. 序論
Ⅱ. 本論
Ⅲ. 結論
Ⅳ. 參考文獻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