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State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조정진(Jung Jin Cho) 김덕용(Deog Young Kim) 남정모(Chung Mo Nam) 김향희(Hyang He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19. no.4, 574~58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언어치료 현황을 확인하였다. 방법: 국내 1,233개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 및 직접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요양병원의 언어치료 실시 여부를 지역에, 병상 규모, 인증 여부, 재활의학과 전문의 유무에 따라 확인하였고 지역별로 언어치료 제공인력과 언어치료사의 근무 형태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언어치료의 실시 여부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전체 요양병원 기관 중 과반수 이상이 언어치료를 실시하지 않고 있었다. 둘째, 언어치료의 실시 여부는 병상 규모에 따라 달랐다. 병상 규모가 클수록 언어치료 실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요양병원 의무인증제의 인증을 받은 기관이 인증을 받지 않은 기관보다 언어치료 실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있는 경우 언어치료의 실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다섯째, 언어치료의 제공인력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언어치료사에 의해 제공되고 있었으나, 작업치료사 또는 사회복지사 등의 비전문가에 의해서도 실시되고 있었다. 여섯째, 언어치료사의 근무 형태는 시간제보다는 전일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요양병원의 언어치료 현황을 알아보고 비교함으로써 요양병원의 언어치료 필요성을 제고하고 향후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o examine and compare the present situation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regarding the services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LT). Methods: Phone interviews across Korea were conducted with 1,233 hospitals that were established before October 2013 and were still operating as of March 2014. Whether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providing SLT services was examin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gion, the size of the facilities, existence of certification from an institution, and the presence of physiatrists. Furthermore, the working conditions of staff providing SLT including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were thoroughly examined. Results: The SLT services were dependent on regional factors. More than half of the facilities did not include SLT as a part of their services. Also, the use of SLT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acilities. Bigger hospitals tended to have a higher percentage of language therapy implementation. Institutions certifi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were more likely to provide SLT services. SLT services were provided more often when a physiatrist was present. Workers providing SLT differed depending on the region.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were more likely to work full-time rather than part-tim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present state and availability of SLT at long-term care facilities,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the service, and providing the basis for future studie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