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ses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ssimilating Plosives and Nasals to Various Vowel Featur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민정(Min jung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19. no.4, 532~53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조음치료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말소리 오류에서 동시조음 영향을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말소리장애 아동의 구체적인 동시조음 현상에 대해서 후행 모음의 혀 위치 영향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에 파열음과 비음에 다양한 오류패턴을 보인 말소리장애 사례를 통해 동시조음 증상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았다. 방법: 파열음과 비음에 조음방법이나 조음 위치 오류가 3가지 이상 일관되게 나타났던 2-4세의 원인 불명의 말소리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공식 검사 및 자유 대화에서 300음절 이상의 말소리 샘플을 수집하여, 파열음과 비음에 대하여 자질 정확도를 분석하고 음운 문맥에 따른 오류패턴의 출현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아동은 같은 파열음과 비음에도 다양한 오류가 일관되게 나타났고 이들의 오류패턴은 모음 자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 구체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혀 위치 자질이 연구개음의 전방화, 치경음의 연구개음화, 양순음의 치경음화에 영향을 미쳤다. 입술 모양 자질이 양순음화에 영향을 미쳤다. 혀 높이 자질이 후비강음화에 영향을 미쳤다. 구강 공명 자질이 탈비음화에 영향을 미쳤다. 논의 및 결론: 말소리장애 아동은 모음 자질에 따라 동일한 자음에 다양한 오류패턴이 나타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음운 분석 시 다양한 모음 문맥을 고려하여 말소리 오류의 동시조음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oarticulation on speech errors. However, there is little Korean research on coarticulation for speech sound disorders beyond the influence of vowel tongue position. This research examines detailed coarticulatory phenomena in various error patterns with plosives and nasals.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4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late 2 to middle 4,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more than 3 consistent manner or place change patterns in plosives and nasals. The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formal word test and spontaneous conversation. Plosives and nasals in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percentage of feature retention and percentage of error patterns according to phonological contexts. Results: The variou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showed on the same consonant. They were influenced by the following vowel features. Velar fronting, velarization, and alveolarization were influenced by horizontal tongue position. Labialization was influenced lip rounding, posterior nasal frication was influenced by vertical tongue position. Denasalization was influenced by oral resonance. Conclusion: These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demonstrated various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vowel feature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it is important to analyze vowel context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articulation on speech error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