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erbal Working Memory and Verbal Memory's Relationship to Discourse Comprehension in Healthy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최현주(Hyun joo Choi)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19. no.4, 513~5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고령자의 담화 이해 능력은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반영하며, 다양한 인지기능과 관련을 가진다. 본 연구는 이야기를 듣고 질문에 답하는 담화 이해 과제를 사용하여 고령자의 성별, 연령, 교육년수 및 K-MMSE 점수가 담화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구어 작업기억 및 언어기억과 담화 이해 능력의 상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일반 고령자 60명(남성 30명,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담화 이해 과제는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이야기를 듣고 질문에 답하도록 하는 이야기 이해 과제를 사용하였다. 구어 작업기억 과제로 숫자 외우기(Digit Span Test)를, 언어기억 과제로 서울언어학습검사(SVLT)를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성별, 연령, 교육년수 및 K-MMSE점수는 고령자의 담화 이해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담화 이해 점수는 구어 작업기억 중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와 SVLT의 모든 항목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와 SVLT점수가 담화 이해 능력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담화 이해 능력은 다양한 기억 능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신경언어장애군의 담화 이해 평가 및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Comprehension of spoken discours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in the elderly and is related to various cognitive process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comprehension in healthy elderly adults and see how discourse comprehension is influenced by both verbal working memory and verbal memory. Methods: Sixty healthy elderly adults (male 30, female 3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took part in discourse comprehension tasks using two different stories, a verbal working memory test (Digit Span Test: Forward/Backward) and a verbal memory test (Seoul Verbal Learning Test [SVLT]).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iscourse comprehension ability did not vary with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or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scor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iscourse comprehension score and performance on the Backward Digit Span Test and all sections of the SVLT. Third,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verbal working memory and verbal memor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discourse comprehension ability in healthy elder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course comprehension ability is a complex skill that depends largely on different aspects of verbal memory. These finding have clinical implications fo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discourse comprehension for elderly patients with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