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ancient Korean verse
by a Woman Exile in Manchuria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저자명
- Ko Soon hee(高淳姬)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8권, 29~56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국문 초록
<위모사>는 1912년 경 이호성이 창작한 가사 작품이다. 작가는 안동의 독립운동가 김대락 집안의 며느리이다. 한일합방이 되자 김대락은 만주에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고자 만주로 떠났다. 그리고 많은 문중인이 김대락을 따라 만주로 망명했다. 이때 작가도 남편과 함께 서간도로 망명하였다. <위모사>는 어머니가 쓴 가사 <송교행>에 대한 답가이다. 전반부는 조선의 역사와 일제강점의 현실, 난세의 이주 사례, 서간도의 살기 좋음, 남녀평등의 시대 등을 읊었다. 서간도로 떠나는 것을 걱정하는 어머니를 안심시키기 위해 말한 것이다. 후반부는 서간도를 향해 떠나면서부터의 내용을 담았다. 고국을 향한 이별가와 서간도까지의 도착 과정을 읊었다.
작가는 근대계몽주의사상의 자양분을 흡수하였다. 그리고 세계를 자신의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주체적 여성인식을 형성하고 있었다. 한편 독립운동가로서의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었다. 작가는 여기서 더 나아가 남녀평등의식을 진정으로 주장하였다. <위모사>는 역사 사회 현실에 대응하면서도 역사에 의해 굴곡을 겪는 한 개인의 삶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가사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작가 李鎬性과 만주 망명 이유
3. <위모사>의 작품세계
4. 주체적 여성 인식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