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ng Wealth Effects of Baby-boomers and Older Adult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윤정득(Yoon, Jungduck) 이현정(Lee, Hyunjeong)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58輯, 86~10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1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현재 65세 이상의 고령자와 함께 2010년부터 은퇴를 시작하는 베이비부머(1955년~1963년생)의 가세로 생산인구 감소에 따른 소비위축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이들의 자산효과를 분석한 결과, 현 65세 이상의 고령자에 비해 총자산 규모가 큰 베이비부머는 총자산이 증가할 수록 소비탄력성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산기반이 취약한 고령자는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정 소비를 유지시켜 생활의 질이 악화되지 않도록 다양한 노후 소득원 확보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보유하고 있는 주택가격의 하락은 금융자산이나 주택외 부동산자산의 가격하락보다 소비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거시경제 차원에서 자산가치 하락을 완충시킬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가계자산 포트폴리오에서 실물자산의 의존도를 낮추고 다층구조의 연금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한, 자산효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계부채의 감소와 임대소득 등의 확보로 자산효과의 증가와 경제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plore wealth effects of baby-boomers and older adults on consumer spending, particularly how household spending on non-durables is influenced by increase in aggregate wealth, housing value, financial asset, real estate assets, net wealth, capital gains and rental income.
(2)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used the 2010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and 312 baby boomers and 476 older adults owning a hom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identified for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transformed using the logarithm function.
(3) RESEARCH FINDINGS
As baby boomers were well-educated, were economically better off and had bigger households, baby boomers earned more, spent more, possessed larger assets and had greater wealth effects than did the counterpart.
2.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veal that home equity was a determinant of wealth effects, and household debt posed a serious threat to wealth effect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실증분석
Ⅳ.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