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isk Factors for Asymptomatic Atherosclerosis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without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s
- 발행기관
- 대한임상노인학회
- 저자명
- 박종숙(Jong-Suk Park), 남주영(Joo-Young Nam), 김철식(Chul-Sik Kim), 김똘미(Dol-Mi Kim), 조민호(Min-Ho Cho), 박진아(Jina Park), 안철우(Chul-Woo Ahn), 차봉수(Bong-Soo Cha), 임승길(Sung-Kil Lim), 김경래(Kyung-Rae Kim), 이현철(Hyun-Chul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임상노인학회지』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제5권 제2호, 208~21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국문 초록
연구배경: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 무증상의 죽상경화증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적이 없다.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 미세혈관 합병증이 없는 제2형 노인 당뇨병 환자에서 죽상경화증의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증상이 있는 죽상경화증이나 미세혈관 합병증이 없는 60세 이상인 60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경동맥의 죽상경화증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과: 죽상경화증의 변화를 평균 내중막 두께(IMT) ≥1.0 mm 또는 경화반이 존재할 때라고 정의하면 환자의 28%에서 경동맥의 죽상경화증의 변화가 있었다. 경동맥의 죽상경화증에 대한 위험 인자는 연령, LDL 콜레스테롤, 고혈압 및 치료 방법이었다. 연령과 LDL 콜레스테롤은 평균 내중막 두께와 연관이 있었다.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및 유병기간은 경동맥의 죽상경화증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60세 이상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조절은 미세혈관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 무증상의 죽상경화증과 관련이 없었다. 연령, LDL 콜레스테롤, 고혈압 및 치료 방법이 이러한 환자들에서 죽상경화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위험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인 환자에서 이러한 위험 인자의 조절이 보다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Background: Diabetes Mellitus is a major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We have no information on the prevalence of asymptomatic atherosclerosis in diabetic patients before the onset of microvascular diseases.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the atherosclerosis in elderly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out the microvascular diseases.
Methods: We evaluated atherosclerotic change of carotid arteries in 60 elderly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who had neither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s nor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s. When atherosclerotic change was defined as the mean intima-media thickness (IMT) of >1.0 mm and/or the presence of plaque lesion, 28.3% of patients had atherosclerosis of the carotid arteries.
Results: Risk factors for the carotid atherosclerosis were age,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hypertension, and diabetes treatment. Age and LDL-cholesterol were associated with mean IMT. Fasting plasma glucose,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and known diabetes duration remained unassociated with any parameters of asymptomatic atherosclerosis of the carotid arteries.
Conclusion: Glycemic control is unrelated with asymptomatic atherosclerosis in elderly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out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s. Conventional risk factors and diabetes treatment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therosclerosis of the carotid arteries in these patients.
목차
Abstract
서론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국문요약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