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easurering HR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대한경영교육학회
- 저자명
- 최종연(Choi, Jong Yun)
- 간행물 정보
- 『경영교육저널』제6호, 173~197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헌연구, 사례 연구 등을 통해 바람직한 BSC 개념에 기초한 HR 성과 모델을 설정하였다. HR성과 측정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통해 새로운 HR성과평가의 흐름을 파악하고 성과변수 설정 등에 제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우수 기업들의 사례연구를 통해 현실적인 HR성과평가 연구가 가능토록 하였다.
이를 통해 새롭게 제시되는 HR 성과측정표는 1) Holistic Approach, 2) 성과영역 간의 균형, 3) 투입과 결과물의 프로세스적 접근을 토대로 설정되었다. 첫째 Holistic 접근법은 HR성과측정표의 흐름이 부분적인 성과영역에 대한 측정에서 보다 통합적이고, 일관되고, 전체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둘째로 성과 영역 관점에서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성과영역간의 균형있는 반영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제시되었다. 셋째로 투입과 결과물의 프로세스적 접근은 HR 관리를 일련의 조직변화 과정으로 이해하고 투입에서 결과물 산출에 이르는 전체적인 과정들에 대한 관점에서 설계되었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부분적으로 측정되어 오면 HR 성과에 대해 명확한 성과영역과 측정 요소 등의 발견 및 정의를 통해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HR 성과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sign of BSC based HR effectiveness measurement model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bout various companies. New HR measurement model is based on 1) holistic , 2) Balanced, 3) Process-oriented approach. Including the strategy linkage, HR competence, HR role & responsibility, HR practice, and outcome, five main performance areas are resulted in former research and best practice.
Providing the integrated perspective and methodology, this model will contribute to HR effectiveness measurement research. Utlising this model, organization can enhance overall HR effectiveness, share corporate value, and strengthen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also, the HR practitioners can achieve a practical tool for HR management, enhance HR competence and position the HR department as a strategic partner.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배경 및 목적
Ⅱ. 선행 연구
Ⅲ. HR 효과성 측정 영역
Ⅳ. 사례연구
Ⅴ. 모델 설계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