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About a Successful Knowledge-Management Construction Strategy
- 발행기관
- 대한경영교육학회
- 저자명
- 김주영(Kim, Ju Young)
- 간행물 정보
- 『경영교육저널』제6호, 31~49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30

국문 초록
정보화 사회에서 기업의 역량은 자산, 자본, 설비, 종업원 수 등의 물리적인 자원보다 기술이나 경영 노하우 및 지식 인프라와 같은 지적자본(Intellectual Capital)에 의해 결정된다. 즉 조직은 효율성(비용/시간단축)에 의존하여 경쟁 우위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성에 기반을 둔 경쟁우위(창조적 가치우위성)를 추구하는 형태로 변한 것이다. 지식은 이제 경쟁우위를 창출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전략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기업들은 다가오는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지식경영(Knowledge-Management)을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Pradigm)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식경영(KM)은 회사가 가지고 있는 지적자산 뿐만 아니라 구성원 개개인의 지식이나 Know-how를 체계적으로 발굴하여 조직내부의 보편적인 지식으로 공유하고, 공유지식의 활용을 통하여 조직 전체의 문제해결 능력과 기업 가치를 향상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지식창조, 공유, 활용에 근거한 쌍방향 경영방식 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식경영을 이해하고 성공적인 실천을 위하여 국내에서 지식경영을 도입하여 성과를 거두고 있는 기업을 선정, 성공적인 지식경영 전략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기업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지식경영 전략이 도출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companys capability is decided rather by the intellectual capital such as technology, management know-how, and knowledge infra than by the physical resources such as property, capital, history, equipment, and number of employees. In other words, an organization has been changed to pursue the competitive superiority depending not on the effectiveness (i.e. cost, shortened time) but on the creativity (creative value superiority).
Now knowledge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strategic element to become superior in competitions.
Companies are accepting the Knowledge-Management as a new management paradigm, in order to maintain their competitive power in the upcoming knowledge-based society.
The purpose of Knowledge Management is to turn up not only the company-owned intellectual capital but also the members individual knowledge and know-how, to co-own them as general knowledge, and to use them for enhancing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value of company, which can be called two-way management method based on knowledge creation, co-ownership, and practical application.
To understand and successfully practice Knowledge Management, the domestic companies who have induced Knowledge Management and obtained excellent results are selected and researched for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지식경영에 관한 이론적 배경
Ⅲ. 국내기업의 지식경영 도입현황과 문제점
Ⅳ. 사례기업 연구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