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略論『金匱要略心典』濕病條文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李仙蘭 李容範 金成煥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9권 3호, 1~12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1
국문 초록
영문 초록
通過分析『金匱要略心典』濕病條文中尤在涇的注釋,得出如下結論.
濕邪感人,始于太陽而流入關節,平日土德不及之人,易感濕邪,濕病,無寒不作,如痙病非風不成,濕病之表證是身煩疼、關節疼煩; 裏證是小便不利、大便反快.濕黃由于濕邪外盛而其陽內鬱發生.表證誤下發生的噦、胸滿、小便不利等證原因是陽氣內鬱.發熱, 日哺所劇,不是與肺陽明有關,而是與風有休作有關聯.
治療外濕證的發j汗法是微微發汗,不是過度發汗,如果發汗過度,僅去風邪而濕邪尚存. 若風濕在表,可以用麻黃加朮湯、麻黃杏仁薏苡甘草湯以發汗,若已汗出而表處,可以用防己黃芪湯以實表行濕,若表虛無熱,不可發陽,所以用桂枝附子湯以溫經散濕,或用自朮附子湯以補陽行濕,若表裏之陽俱虛,可以用甘草附子湯以補中兼發散.
목차
중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본론
Ⅳ. 결론
參考文獻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