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Green Tea by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on HepG2 Cells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김선화(Sun-Hwa Kim) 이희수(Hee-Soo Lee) 정용진(Yong-Jin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20권 제2호, 37~4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녹차 생엽을 이용하여 제다 방법 및 덖음 횟수에 따른 독차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회 덖음 처리를 한 초청차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680.06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증청차로 3회 덖음 처리를 하였을 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434.41mg%로 가장 높았다. 녹차 추출물의 HepG2 cell을 이용한 세포생존율과 산화적 손상에 대한 LDH 활성 저하효과 조사 결과에서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생존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0.5mg/mL 이상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비교적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t-BHP 처리시 추출물을 처리 농도에 따라 조금 감소하였으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아 비교적 높은 세포생존율을 보여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green tea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s and pan-firing times using green raw leaves.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green tea was increased to 680.06 mg% by 3 times pan-firing parched tea, whereas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green tea was increased to 434.41 mg% by 3 times pan-firing steamed tea. An examination of the cell viability and reductive effects on the LDH activity for oxidative damage to HepG2 cell exposed to the green tea extract showed a decrease in the cell survival rate with increasing process concentration but comparatively lower vi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range of 0.5 mg/mL. t-BHP treatment resulted in a slight decrease in cell survival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but a large difference did not overly influence the cell viability. Overall, the green tea extracts havehepatocyte-protecting activity.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