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Import Demand Equation with the Extensive Margin and an Empirical Analysis
이용수 21
- 영문명
- 무역의 외연영역과 수입수요 함수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강기천(Kichun Kang)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經濟硏究 第32卷 第2號, 221~248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5.31

국문 초록
전통적인 수입수요함수에서 추정된 소득탄력성은 과대추정 되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소득과 가격만을 설명변수로 사용하는 추정모형에서는 새로운 상품이 미치는 영향이 생략되어 소득탄력성이 과대하게 추정된다. 본 연구는 무역의 외연영역(Extensive Margin)을 포함하는 수입수요 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 수출에 대한 소득탄력성을 추정한다. 실증분석에 따르면 한국 수출에 대한 세계 국가들의 소득탄력성은 새로운 상품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115% 과대하게 추정된다.
영문 초록
It is well-known that income elasticities in the standard import demand equation may be over-estimated because of the omission of new goods. Following this line of reasoning, this paper suggests an import demand equation that incorporates the extensive margin and then estimates the effect of new goods on income elasticities. This paper shows that income elasticities are upward biased by approximately 115% when the effects of new goods are not taken into account, using Korean export data. This paper proposes a new sophisticated import demand equation that is useful for estimating un-biased income elasticitie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Import Demand Equation with the Extensive Margin
Ⅲ. Empirical Implementation
References
국문요약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