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s and Teaching Practice of Teachers on the Cleanlines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남경욱(Nam, Kyounguck) 이한나(Lee, Han na) 신현기(Shin, Hyunki)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9권 제1호, 323~346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환경 내 장애학생의 청결과 관련해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실태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장애학생 청결에 관한 교사인식 설문'을 제작해 사용했으며, 337명의 초, 중, 고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응답자료를 분석해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먼저, 교사들은 일반학생에 비해 장애학생의 청결에 더 문제가 있고, 다수의 일반학생들은 청결하지 못한 장애학생을 기피하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청결하지 못할 때 또래 간 상호작용 감소라는 문제가 가장 심각하게 발생하며, 청결상태에 부모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또한, 교사들의 청결지도는 교실 및 화장실에서 그리고 점심시간과 쉬는 시간에 주로 이루어졌고, 학교생활 중 직접 지도하거나 부모에게 지도를 요청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지도영역은 외모 상 청결과 올바른 생리현상 처리에 집중하고 있었으며, 지도 시 어려운 점은 비협조적인 가정과 지도방법상의 어려움을, 필요로 하는 지원으로는 보조인력과 청결지도교구를 주로 언급했다. 청결지도의 책임은 부모에게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청결영역별 인식결과를 살펴보면, 교사들은 장애학생의 생리현상 처리를 가장 낮게 평정했는데, 학교급별로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초등생의 청결수준을 중, 고등생보다 유의하게 낮게 평정했으며, 교사유형별로는 특수교사가 모든 영역에서 일반교사보다 유의하게 낮게 평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환경에서 장애학생의 청결지도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연구자들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 청결과 관련한 함의점들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r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cleanli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the authors developed 'Survey for the teachers on the cleanli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athered data from 336 teachers and analysed th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nswered tha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more problems in cleanliness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and the main problem was reduction of their social interaction with general students. Teachers also thought parents were the biggest factor that affect cleanliness. In addition, teachers answered about their reaching practices according to place, rime, contents, method, difficulties, needs and responsibilitie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according to cleanliness area, teachers answer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the biggest problem in desirable coping to physiological phenomenon. Also, elementary students were thought to have lower levels of cleanliness compared to upper class students, and special teachers thought the level of cleanlin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lower compared to general teachers.
Finally, The authors presented som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